
요즘 유행하는 수족구병, 무엇이고 어떻게 예방할까?
안녕하세요. 건강한 생활을 함께 고민하는 블로그입니다. 최근 어린이집, 유치원을 중심으로 수족구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 많이들 들으셨을 텐데요. 특히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와 함께 생활하시는 부모님들은 더욱 걱정이 많으실 겁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족구병의 원인부터 증상, 치료, 예방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꼭 끝까지 읽고 주변 분들과도 공유해 주세요!
1. 수족구병이란?
수족구병(Hand-Foot-and-Mouth Disease)은 장바이러스(코삭키바이러스 A16, 엔테로바이러스 71 등)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감염증입니다. 이름처럼 손(수), 발(족), 입(구)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게 특징이죠.
주로 5세 이하 어린이에게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 성인에게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2. 유행 시기 및 전파 경로
수족구병은 5월~9월 사이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바이러스가 활발하게 퍼지기 때문인데요.
- 비말(기침, 재채기 등)
- 침, 콧물, 수포액, 대변 등과의 직접 접촉
- 장난감, 손잡이 등 오염된 물건 접촉
잠복기: 평균 3~6일 정도이며, 증상이 없어도 전염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주요 증상
수족구병의 가장 뚜렷한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 (보통 38도 이상)
- 입 안의 수포 (혀, 입천장, 입술 안쪽 등)
- 손과 발의 수포성 발진
- 식욕 저하, 침 흘림, 무기력
- 드물게 엉덩이, 무릎, 팔꿈치에도 발진 발생

※ 입 안 통증으로 인해 아이가 음식을 거부하고 탈수 증상이 생기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치료 방법
수족구병은 대부분 7~10일 이내 자연 치유됩니다. 특별한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 완화 위주의 대증요법이 적용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 해열제 사용 (타이레놀 등, 의사 지시에 따라)
- 부드럽고 자극 없는 음식 제공 (죽, 바나나, 요거트 등)
- 휴식과 개인 위생 관리
항생제는 바이러스성 질환인 수족구병에 효과가 없습니다.
5. 합병증 가능성은?
대부분 경과가 좋지만,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엔테로바이러스 71이 원인일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 뇌수막염, 뇌염 (두통, 구토, 의식 저하)
- 탈수 (입 안 통증으로 물 섭취를 꺼릴 경우)
- 손톱, 발톱이 빠지는 현상 (회복 후 수주 내)
※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되거나 경련, 구토, 의식 변화 등이 보이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세요.
6. 예방 방법
현재까지 수족구병은 예방 백신이 없습니다. 따라서 철저한 위생 관리와 조기 격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 외출 후, 식사 전후, 배변 후 비누로 손 씻기
- 장난감, 식기 등 자주 소독
- 환자와의 접촉 최소화
- 등원/등교 중지: 발열 및 수포 증상이 모두 사라진 후 최소 72시간 이후
7. 자주 묻는 질문
Q. 수족구병에 걸리면 무조건 병원에 가야 하나요?
대부분은 자가 치료로 회복되지만, 3일 이상 고열 또는 탈수 증상이 보이면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Q. 수족구병은 몇 번이고 걸릴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바이러스 종류가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한 번 걸렸다고 면역이 생기지는 않습니다.
Q. 수족구병에 걸린 아이는 언제 등원할 수 있나요?
모든 증상이 사라지고 72시간 이상 경과한 후 등원을 권장합니다.
8. 마무리하며
요즘처럼 수족구병이 유행할 때에는 무엇보다 예방과 조기 대응이 중요합니다. 손 씻기 습관부터 생활 소독, 외출 후 위생 관리까지 작은 실천이 큰 예방이 됩니다.
부모님들은 아이들의 체온과 수분 섭취 상태를 자주 확인해 주시고, 무리하게 음식을 권하거나 외출을 강요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이 글이 수족구병에 대한 궁금증을 푸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공유와 스크랩은 언제나 환영입니다!